평생을 시골과 소도시 공주의 초등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
정년퇴임한 나태주 시인은 한때 병원 중환자실에서
시한부 삶을 선고받을 만큼 중병을 앓았었다.
병석에서 생사의 기로에 선 자신보다 곁에서 간호하는
아내에 대한 안쓰러움이 더 컸기에,
그 마음을 하느님께 하소연하며
기도하는 내용의 시를 마지막 편지처럼 썼다.
너무 그러지 마시어요.
글 : 나태주 ㅣ 시인
너무 그러지 마시어요.
너무 섭섭하게 그러지 마시어요. 하느님,
저에게가 아니에요.
저의 아내 되는 여자에게 그렇게 하지 말아 달라는 말씀이어요.
이 여자는 젊어서부터 병과 함께 약과 함께 산 여자예요.
세상에 대한 꿈도 없고 그 어떤 사람보다도 죄를 안 만든 여자예요.
신발장에 구두도 많지 않은 여자구요.
한 남자 아내로서 그림자로 살았고
두 아이 엄마로서 울면서 기도하는 능력밖엔 없었던 여자이지요.
자기의 이름으로 꽃밭 한 평 채전밭 한 뙈기 가지지 않은 여자예요.
남편 되는 사람이 운전조차 할 줄 모르고 쑥맥이라서
언제나 버스만 타고 다닌 여자예요.
너무 그러지 마시어요.
가난한 자의 기도를 들어주시는 하느님,
저의 아내 되는 사람에게 너무 섭섭하게 하지 마시어요.
이 시에 화답하여 시인의 아내가 쓴 다음의 시를 읽을 땐
저린 마음에 하마터면 눈물을 쏟으며 울 뻔 했다.
지금은 건강이 회복되어 공주문화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데,
그건 아무래도 두 사람의 이런 호상간 기도 덕분이지 싶다. (옮긴글)
글 : 김성예
“너무 고마워요,
남편의 병상 밑에서 잠을 청하며
사랑의 낮은 자리를 깨우쳐주신 하느님,
이제는 저이를 다시는 아프게 하지 마시어요.
우리가 모르는 우리의 죄로 한 번의 고통이 더 남아 있다면,
그게 피할 수 없는 우리의 것이라면,
이제는 제가 병상에 누울게요.
하느님, 저 남자는
젊어서부터 분필과 함께 몽당연필과 함께 산,
시골 초등학교 선생이었어요.
시에 대한 꿈 하나만으로 염소와 노을과 풀꽃만 욕심 내온 남자예요.
시 외의 것으로는 화를 내지 않은 사람이에요.
책꽂이에 경영이니 주식이니 돈 버는 책은 하나도 없는 남자고요.
제일 아끼는 거라곤 제자가 선물한 만년필과
그간 받은 편지들과 외갓집에 대한 추억뿐이에요.
한 여자 남편으로 토방처럼 배고프게 살아왔고,
두 아이 아빠로서 우는 모습 숨기는 능력밖에 없었던 남자지요.
공주 금강의 아름다운 물결과 금학동 뒷산의
푸른 그늘만이 재산인 사람이에요.
운전조차 할 줄 몰라 언제나 버스만 타고 다닌 남자예요.
승용차라도 얻어 탄 날이면 꼭
그 사람 큰 덕 봤다고 먼 산 보던 사람이에요.
하느님, 저의 남편 나태주 시인에게 너무 섭섭하게 그러지 마시어요.
좀만 시간을 더 주시면 아름다운 시로 당신 사랑을 꼭 갚을 사람이에요.”